지속 가능한 소비 트렌드와 친환경 브랜드, 플라스틱 프리 일상 이야기
지구를 위한 실천 제로웨이스트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일상이 된 제로웨이스트, 더 이상 특별하지 않은 실천
요즘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지속 가능성’이라는 키워드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기후 위기, 플라스틱 해양 오염, 무분별한 소비문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삶의 방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그 중심에 있는 개념이 바로 제로웨이스트(Zero Waste)다.
제로웨이스트는 말 그대로 ‘쓰레기를 0으로 만들자’는 뜻을 가진 환경 운동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쓰레기를 전혀 만들지 않는 삶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실제로는 불필요한 쓰레기를 줄이고, 재사용과 재활용을 생활화하는 실천적인 철학에 가깝다.
재밌는 건, 예전엔 제로웨이스트가 일부 환경 운동가들의 이야기처럼 느껴졌다면, 이제는 트렌드가 되어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커피숍에 텀블러를 가져가는 것, 장바구니를 사용하는 것, 고체 샴푸를 쓰는 것 등 일상 속 작은 행동들이 모두 제로웨이스트의 일부다.
MZ세대를 중심으로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단순히 “이게 싸서 샀어”가 아니라 “이 브랜드는 지구를 생각하니까 샀어”라는 식의 소비 태도가 일상 속에 스며들고 있다. 소비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이 되고, 더 나아가 나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 셈이다.
착한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도 환경보호다 – 친환경 브랜드 소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한다고 해서 당장 집에 있는 모든 플라스틱을 버리고 천연 제품으로만 살아야 하는 건 아니다. 중요한 건 가능한 한 환경에 해가 적은 선택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소개할 브랜드들은 지속 가능한 소비를 돕는 친환경 브랜드로, 나도 직접 사용해보거나 주위에서 꾸준히 추천받아온 제품들이다.
* 마르마르(Marmar) – 고체 제품의 정석
비누, 샴푸, 린스 등을 모두 고체 형태로 제공하는 국내 제로웨이스트 브랜드다. 모든 제품은 플라스틱 프리 포장을 원칙으로 하며, 성분도 자연 유래 성분이라 안심하고 쓸 수 있다. 고체 제품이 익숙하지 않다면 마르마르 제품으로 입문해보는 걸 추천한다.
특히 여행 갈 때 용기 제한 걱정 없이 가져갈 수 있어 편리하다.
* 베러얼스(Better Us) – 여성 건강과 환경을 동시에
베러얼스는 면 생리대, 생리컵, 탐폰 등 생리 용품을 지속 가능하게 바꾸고 있는 브랜드다. 생리대 하나가 분해되는 데 수백 년이 걸린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많은 여성들이 일회용 생리대에서 재사용 가능한 생리 용품으로 전환하고 있다. 베러얼스는 피부에 자극이 없고 디자인도 예뻐서 만족도가 높다.
* 루츠앤롤스(Roots & Rolls) – 제로웨이스트 식품 브랜드
비건 식품, 무포장 간식, 대체육 제품 등을 판매하는 식품 브랜드다. 플라스틱 포장을 최소화하고, 유리병/종이포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영양도 챙기면서 환경까지 생각하는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 블루오브(BluOrb) – 리필 가능한 세제
세제를 살 때마다 커다란 플라스틱 용기가 늘어나는 것이 불만이었다면, 블루오브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처음에만 유리병을 구매하고, 이후에는 소형 파우치로 리필만 받는 시스템이다. 심플한 디자인과 향도 좋아 인테리어 효과도 챙길 수 있다.
이처럼 나에게 맞는 브랜드를 찾아 바꿔가는 것만으로도 ‘나는 지구를 위해 행동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생긴다. 모든 소비는 곧 선택이며, 그 선택이 곧 메시지다.
나의 플라스틱 프리 실천기 – 어렵지 않지만, 확실한 변화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해보기로 결심한 건, 플라스틱 쓰레기가 산처럼 쌓인 바다 영상을 본 뒤였다. 처음엔 막연했지만, 조금씩 바꿔보자는 마음으로 작은 실천부터 시작했다. 지금부터는 내가 경험한 플라스틱 프리 실천기를 공유해볼까 한다.
텀블러는 이제 내 필수 아이템
처음엔 귀찮았지만, 지금은 무조건 가방에 텀블러가 들어 있다. 카페에서는 할인도 되고, 일회용 컵을 쓰지 않아 뿌듯하다. 예쁜 텀블러를 고르다 보니 이젠 패션 아이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장보기도 더 똑똑하게
마트 갈 땐 접이식 장바구니를 챙기고, 채소는 벌크 상품 위주로 산다. 가능하면 종이봉투나 재사용 가능한 망사백을 사용한다. 장 보는 속도는 조금 느려졌지만, 환경을 생각하는 시간은 훨씬 깊어졌다.
고체치약, 대나무 칫솔로 교체
플라스틱 칫솔은 평균 3개월마다 바꿔야 하니, 평생 수십 개는 쓰게 된다. 그래서 대나무 칫솔로 바꿨다. 고체치약도 처음엔 생소했지만, 은근히 오래 쓰고 거품도 적당히 나서 만족스럽다. 작은 변화지만 매일 쓰는 물건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플라스틱 절감 효과가 있다.
리필샵 방문하기
서울 성수동, 마포 등지에는 리필샵이 늘어나고 있다. 용기를 직접 들고 가서 세제, 샴푸, 식기세척제 등을 리필 받을 수 있는데,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는 데 아주 효과적이다. 처음엔 어색했지만, 이젠 마치 동네 단골가게처럼 자주 찾게 된다.
제로웨이스트 실천은 누구나 할 수 있고, 누구나 불완전하게 할 수 있다. 중요한 건 완벽한 제로웨이스트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천천히 나아가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소비자다. 그리고 소비는 곧 우리의 목소리이자 선택이다. 지금 이 순간, 나의 작은 선택이 지구의 미래를 바꾸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니 너무 부담 가지지 말고, 오늘 한 가지라도 실천해보자.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