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이 없는 마을’로 향하는 길
오늘은 영양 별마을에 대해 소개해보려한다.
사람들은 흔히 여행을 통해 무언가를 '보려고' 떠난다.
하지만 나는 이번 여행에서, 세상의 불빛을 보지 않기 위해 떠났다.
도시에서는 하늘을 올려다보아도, 별은커녕 달빛조차 제대로 보기 어렵다.
그래서 찾았다.
한국에서 별이 가장 잘 보이는 마을, 경북 영양군 수비면의 ‘별마을’.
영양은 경북 북동쪽 끝자락, 태백산 자락 깊숙한 곳에 있는 조용한 군이다.
그 중에서도 수비면은 환경부로부터 ‘빛공해 제로 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인공조명이 거의 없고 하늘의 별이 그대로 내려앉는 듯한 신비한 공간이다.
처음에는 ‘그게 뭐 대단한가?’ 싶었지만,
직접 이곳의 밤을 마주한 순간, 나는 말문이 막혔다.
서울에서 영양까지는 꽤 긴 여정이었다.
버스를 타고 몇 번을 갈아탄 끝에 도착한 수비면.
마을 입구에는 작은 간판 하나만이 조용히 "별마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라고 말해준다.
마치 별에게 방해되지 않기 위해 작은 목소리로 속삭이는 듯했다.
그 조용한 인사에서부터, 나는 이곳이 다르다는 걸 느꼈다.
별이 내리는 밤, 고요 속에 잠기다
별마을에서는 밤이 되면 모든 것이 진짜 고요해진다.
가로등도, 상점 간판도, 밝은 전광판도 없다.
숙소에서는 밤 9시 이후로는 외부 조명을 최소화하도록 권장하고 있고,
주민들조차 밤에는 실내등을 낮춰 사용하는 배려를 보여준다.
밤 10시, 나는 마을 가장자리에 있는 별 관측 장소로 향했다.
작은 언덕 위에 놓인 그 자리는, 어둠과 별빛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별을 보러 온 몇몇 사람들과 함께 망원경 앞에 조용히 앉았다.
그리고 잠시 후,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나는 말을 잊었다.
별이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눈으로 보이는 수많은 별들, 그리고 그 사이로 은하수 같은 띠.
소리도, 불빛도 없는 그곳에서 오직 빛나는 별들만이 말을 걸어왔다.
사진으로 담기엔 부족하고, 말로 표현하긴 더 부족한 그 장면.
가슴 깊숙이 들어와 앉은 별빛은
마치 나를 껴안듯 따뜻하고도 쓸쓸했다.
별마을에서는 천문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천문대 해설사 선생님이 별자리 이야기를 들려주며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별을 잘 찍을 수 있는 팁을 알려주신다.
‘목성’, ‘토성’, ‘플레아데스 성단’ 같은 이름을 처음 들은 사람도
그날 밤에는 별의 매력에 푹 빠져버린다.
별빛이 스며든 새벽, 고요함의 위로
별을 보며 밤을 지새운다는 건 생각보다 따뜻한 일이다.
마치 밤하늘 전체가 나를 위로해주는 느낌이다.
별을 보다 잠시 눈을 감고, 다시 뜨면
하늘은 같은 듯 다르고,
마음도 같은 듯 가벼워진다.
새벽 2시 즈음, 나는 언덕에서 내려와 숙소로 돌아왔다.
별마을에는 몇몇 민박과 게스트하우스가 있는데,
그 중 ‘별빛산장’이라는 민박은
밤에도 조용하고, 창문 밖으로 별이 보이는 작은 방을 제공한다.
창을 열면 별빛이 쏟아져 들어오는 방.
그곳에서 이불을 덮고 누운 채로 밤하늘을 바라보았다.
어느덧 해가 뜨기 전, 어슴푸레한 하늘이 시작됐다.
밤새 나를 품어주던 별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대신 아침의 기운이 스며들었다.
별은 사라졌지만, 내 마음엔 분명히 무언가가 남았다.
그건 아마도 고요함의 힘이 아닐까.
영양 별마을은 그 어떤 볼거리도, 화려한 액티비티도 없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값진 쉼과 위로가 있다.
내 마음에 별이 하나 박힌 것 같은 느낌.
잊고 있던 나 자신과의 대화를 나눈 느낌.
그것만으로도 이 여행은 충분했다.
영양 별마을은 ‘별을 보기 위해 떠난 여행’이 아니라,
‘별을 통해 나를 만나는 여행’이었다.
가끔은 모든 불빛을 끄고, 조용히 밤하늘을 올려다볼 필요가 있다.
그곳엔 말 없는 위로가 있고,
화려하지 않은 감동이 있다.
혹시 요즘 너무 바쁘고, 지치고, 번잡한 하루 속에 있다면
영양 별마을로의 조용한 도피를 추천하고 싶다.
별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고,
우리는 언제든 그 별을 보러 갈 수 있다